반응형
 2일차
 성산일출봉
 우도( 서빈백사, 하고수동해수욕장, 비양도, 우도봉 ) 
 표선해수욕장 
 남원큰엉해안경승지 
 쇠소깍 (올레6코스)
 정방폭포
 천지연폭포


드라마 추노 촬영지이고, 이름도 특이한 올레6코스 시작이자 올레5코스 끝인 쇠소깍.

제주도 가이드 책자에서 본 낯선 이름 쇠소깍. 이 곳은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곳에 호수처럼 물이 고여있는 곳이다. 쇠소깍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특이하고 웅장한 기암괴석이 있다. 또한 하류에서는 땟목을 탈 수 있는데, 마침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바람이 거세서 오후부터는 운영을 안한다고 했다. 아, 정말 땟목을 타면서 쇠소깍의 숨은 경치들을 자세히 유람하고 싶었는데. 아쉽다.

 

쇠소깍 
서귀포시 하효동과 남원읍 하례리 사이를 흐르는 효돈천(孝敦川) 하구를 가리키며, 이곳은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여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한 곳이다. 쇠소깍이라는 이름은 제주도 방언이다. 쇠는 효돈마을을 뜻하며, 소는 연못, 각은 접미사로서 끝을 의미한다. 계곡의 풍경이 아름다운 곳으로 뛰어난 비경을 가진곳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정방폭포.
해안 폭포는 최대 규모라고 하는 정방폭포는 생각보다 볼 것은 별로 없다.
해안에서 내려오는 물줄기가 시원스럽다. 안타까운 것이라면 저게 끝이란 거다.
그래도 제주도에 왔으면 3대폭포 안에 드는 정방폭포를 구경하는 건 당연한 도리인 듯 하다. 

 

 

정방폭포 
천지연폭포·천제연폭포와 더불어 제주도 3대 폭포 중의 하나로서 정방하폭이라고도 한다. 높이 23m, 너비 8m이며 깊이 5m의 작은 못을 이루어 바다와 이어진다. 한라산 남쪽 기슭에 있으며 폭포 양쪽에 수직 암벽이 발달하였고 노송이 우거져 있다. 중국 진시황의 명을 받고 불로초를 구하러 왔던 서불이라는 사람이 폭포의 경치에 반하여 폭포 절벽에 '서불과차'라는 글자를 새기고 서쪽으로 돌아갔다는 전설에서 서귀포라는 지명이 비롯되었다고 한다.


정방폭포 옆 바위에는 불로초를 구하러 왔던 서불이 쓰고 간 글자라는데, 아직 진위가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진짜라면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이야기들이 사실인 걸까.

다음은 천지연폭포.
이 날 일정의 마지막 코스 천지연폭포.

간혹 천지연폭포와 천제연폭포를 동일한 곳으로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엄연히 다른 폭포라는 거다.
사실 내가 헷갈려서 똑같은 곳인줄 알았다. 

천지연폭포는 야간에도 관람이 가능한 제주도에서 유일한 곳이 아닌가 싶다. 조명시설이 괜찮아 저녁에도 고즈넉하니 걸어다니기도 좋고, 산책 코스로 일품인 곳이다. 폭포야, 사실 정방폭포랑 별 차이가 없지만, 저녁녘에 보는 조명 가득하고, 시원스레 떨어지는 소리를 듣어 폭포를 감상하는 맛도 괜찮다 싶다.  

 천지연폭포
길이 22m, 너비 12m(물이 많을 때), 못의 깊이 20m. 조면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기암 절벽에서 세찬 옥수가 떨어지는 경승지이다. 폭포 일대는 뛰어난 계곡미로도 제주에서 손꼽히는 곳인데, 이 계곡에는 아열대성 ·난대성의 각종 상록수와 양치식물 등이 밀생하는 울창한 숲을 이룬다. 특히 이곳에 자생하는 아열대성 상록수인 담팔수 몇 그루는, 이곳이 담팔수의 북한계지에 해당된다는 점에서 희귀시되어 천연기념물 제163호로 지정되어 있고, 그 밖에도 가시딸기 ·송엽란 같은 희귀식물들이 분포하고 있어 계곡 전체가 천연기념물 제379호로 보호되고 있다. 식물뿐만 아니라, 폭포 아래 물속 깊은 곳에는 열대어의 일종인 무태장어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열대어의 북한계지가 또한 이곳이라는 사실이 중요시되어 천지연폭포는 ‘제주도 무태장어 서식지’라는 명칭으로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어 있다.

 

제주도 2일차 일정 중 마지막인 천지연폭포를 끝마쳤다.

 


 

반응형

+ Recent posts